<p></p><br /><br />Q. 여랑야랑 이현수 기자 나와 있습니다. 첫 번째 주제, ‘1등도 애태우는 000’ 여야에서 각각 선두를 달리고 있는 이재명 경기지사와 윤석열 전 검찰총장. 애태우는 게 뭘까요? <br><br>두 후보 모두 20대 지지율이 상대적으로 낮아서 고민입니다. <br> <br>최근 여론조사를 보면요. <br><br>먼저 이 지사, 민주당 대선후보 적합도에서 20대 지지율이 24.1%였고요.<br><br>윤 전 총장은 보수 야권 대선후보 적합도에서 20대에게 18.4%의 지지를 받아 홍준표 의원에게 뒤졌습니다.<br> <br>이렇다보니 두 후보, 20대 표심잡기에 적극적입니다.<br><br>Q. 앞서 언급했지만 홍준표 의원, 20대 지지율에서 의외의 강자로 떠오르고 있어요? <br><br>그렇습니다. 홍 의원은 최근 여론조사에서 20대에게 20.6%대의 지지를 받았습니다.<br> <br>‘무조건 야권 후보는 홍준표'라는 뜻의 ‘무야홍'이라는 신조어도 생겼습니다. <br><br>[홍준표 / 국민의힘 의원] (지난 25일, CBS라디오 '김현정의 뉴스쇼') <br>20~30대 세대들이 인터넷 모임방에서 만든 말이니까, 저도 며칠 전에 알았어요. 20, 30대, 40대 계층의 지지를 받지 않고는 본선을 할 수가 없어요. <br><br>Q. 지난 대선때까지만 해도 이미지가 좀 달랐잖아요.<br><br>지난 2017년 대선에선 이런 말도 했죠. <br><br>[홍준표 / 당시 자유한국당 대선 후보] (2017년 4월) <br>왜 젊은이들이 나를 싫어하냐. 부모한테 받은 것 1원도 없고 그래도 내가 대한민국의 대통령 후보로 나설 수가 있다. 내가 너희들의 롤모델이다. <br><br>홍 의원의 최근 20대 지지율을 두고 흑수저 이력과 사법고시 부활 등 공약이 젊은 세대가 중시하는 공정 키워드와 맞닿아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. <br> <br>막말이란 지적도 나오는 직설적인 화법이 영향을 미친 것이란 분석도 나옵니다. <br> <br>Q. 다음주제 보시죠. N차 출마 성적표. 심상정 정의당 의원이 오늘 네번째 대선 출마 선언을 했다고요? <br> <br>네, 심 의원이 오늘 출사표를 냈는데요. <br><br>14년 전인 2007년 민주노동당 후보로 첫 출마한 이후 매번 출마해 벌써 네 번째입니다.<br> <br>그런데 심 의원 스스로는 '두 번째 도전'이라고 했는데요. <br> <br>[심상정 / 정의당 의원] <br>"앞에 두 번은 예비고사 단계에서 낙방한 셈이고 제대로 준비해서 제대로선거는 지난해에 이어 이번이 두번째. 그러니깐 본고사 재수인 셈이죠." <br> <br>2007년에는 당내 경선에서 탈락했고, 2012년에는 문재인 당시 후보를 지지하며 중도 사퇴했다는 겁니다. <br><br>Q. 심 의원이 이번 대선에서 가장 장수생인 것 같은데요. 출마 횟수와 지지율이 관계가 있나요? <br><br>가장 최근에 나온 대선주자 적합도 여론조사 6위까지를 보시죠. <br> <br>순위권 내에는 처음 대선 출마를 선언한 주자가 4명으로 가장 많았습니다. <br> <br>윤석열 전 검찰총장과 최재형 전 감사원장은 정치신인이고, 이낙연 전 대표와 추미애 전 장관도 첫 대선 출마입니다. <br> <br>이재명 경기지사는 지난 대선에 이어 두번째 홍준표 의원은 세번째입니다.<br><br>Q. 첫 도전인 주자들이 순위권에 많네요? <br> <br>네. 아무래도 국민들에게 신선한 이미지를 주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. <br> <br>그런데 역대 대선 결과를 보면 첫 도전에 대통령이 된 경우는 이명박 전 대통령 정도였고요. <br> <br>문재인 대통령과 박근혜 전 대통령은 두번째로 도전해 청와대에 입성했습니다. <br> <br>김대중 전 대통령은 대선 사수생이었습니다. <br> <br>신선한 이미지는 장점이지만 불안하다는 인상을 줄 수도 있죠. <br><br>다만 출마를 많이 한다고 꼭 실력이 쌓이는 것은 아니니, 결국은 얼마나 실력을 보여줄 수 있는지가 중요하지 않을까 싶습니다. <br><br>Q. 국민들의 선택은 이미지가 신선하냐 불안하냐가 아니라, 얼마나 좋은 정책과 공약을 내놓느냐에 따라 갈리게 되겠죠. 지금까지 여랑야랑이었습니다.